안녕하세요!
사회 초년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놓칠수 없는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신청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제가 진행한 방법을 토대로 작성한 자료이니 추가로 알고 싶은 부분이나 궁금한 부분들은 댓글 달아주시거나 해당 기관에 꼭 연락하시기 바랍니다.
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제도란 ?

국세청에서는 중소기업에 입사한 청년이 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는 '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제도'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이 제도는 2011년 12월 31일에 신설되어 몇 차례 세법 개정을 거쳐 일자리 대책의 일환으로 청년에 대한 세정지원 강화 뿐 아니라 고령자와 장애인, 경력 단절 여성까지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2018년 5월 29일 세법 개정으로 청년에 대한 세정지원이 더욱 강화되어서 돌려받을 수 있는 소득세의 금액이 늘어났습니다.
신청 가능 자격은 현재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만 15세~ 34세 이하 신청 가능합니다. 이번 개정을 통하여 취업 후 3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분들의 한해서만 신청이 가능했는데 이제는 5년으로 연장되어서 더욱더 많은 분들께서 혜택을 볼 수 있게 되었고 이에 해당되는 청년의 2018년 소득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병역의무로 인하여 혜택을 못 받으신 분이라면 병역의무를 끝마치시고 최대 6년까지 그 기간을 제외하고 나이가 계산됩니다.

청년 소득세 감면 신청 방법
아래 필수 서류들을 준비해서 사내 인사 담당자 및 회계 담당자한테 제출하시면 됩니다.
그러면 사내 담당자분이 관할 세무서에 제출하셔서 진행해 주십니다.
1. 소득세 감면 신청서 1부
2. 주민등록등본 1부
3. 병역 복부 기간 증명서 1부 ( 병역 이행을 하셨을 경우 )
4. 장애인 등록증이나 수첩, 복지카드 사본 ( 해당자이실 경우 )
5.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1부 ( 신입이 아니고 경력직이실 경우 )
다시 순서를 정리해보면,
국세청 홈페이지 접속 ( www.hometax.go.kr ) → 중소기업취업청년 소득세 감면신청서, 중소기업 취업청년에 대한 소득세 감면 대상 명세서 서식 다운로드 → 서류 작성 → 작성한 중소기업 취업청년 소득세 감면신청서와 소득세 감면 대상 명세서, 병역복무기간 증명서류(필요시)를 회사 담당자에게 제출!(담당자가 없다면, 직접 관할세무서에 제출하면 됩니다)
저 같은 경우는 14년도에 취업을 해서 신청 후 3년동안 청년소득감면 혜택을 50%를 받아 기간이 만료되었는데 법이 개정되서 다시 재 신청하여 혜택을 누리고 있습니다.
사회 초년생 뿐 아니라 혹시 5년 혜택을 다 못 누르리신 분은 꼭 다시 한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.
앞으로도 관련된 정보들 많이 올려드리겠습니다!!
내 돈은 내가 챙겨야지요!!
'부자 되자 재테크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소기업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방법 및 조건 총 정리 (중도해지 환급금 포함) (0) | 2020.01.27 |
---|---|
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 방법 및 혜택 정리 (0) | 2019.12.08 |
경정청구 신청 방법 (0) | 2019.04.13 |
댓글